[김태수 시론] 4.29 폭동 30주년에. 피해자에서 지도자로

YTN 뉴스 동영상 캡처

4.29 폭동이 지난지 어언 30년이 지났다. 4.29폭동으로 한인사회가, 이 우리 한인이라는, 우리가 누구인지를 알게되는 계가기 되었고, 지난 30년간 숱한 사건들과 발전 끝에 오늘날 한인사회는 이 미국에서 새삼스럽게 다시 역동적으로 그 기여를 다 하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으로 중요한 분수령이 된 사건의 30주년을 맞아 다시 한번 당시를 회상하고 그동안의 우리 커뮤니티의 적족, 그리고 앞으로 나아갈 길을 새겨보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당시 1992년 4월 29일 저녁 무릎에 로드니 킹 구타 경찰들의 판결이 내려진다는 소식과 함께 사실 로스앤젤레스는 물론 미국 전역에서 여기에 관심이 모여졌다. 이전부터 근 1년 동안 이 경찰들의 흑인 무차별 구타 사건 보도는 계속되었고, 여기에 두순자 여인의 가게 안 흑인 소녀 사망 사건도 집중 보도되었다. 이것은 분명, 주류 언론이 전혀 관련이 없는 두순자 여인 사건을 로드니 킹 사건과 연관시켜 의도적으로 편파 보도한 것은 분명하다. 이점에 대해서는 분명히 주류 언론이 책임을 지어야 한다. 로스앤젤레스 타임즈도 몇 년 전에 이점에 대한 과오를 인정하고 사죄하는 글을 발표한 적이 있다. 여기에서 얼마나 우리가 힘이 없이 주류 언론에 이용당하였는지 많은 교훈을 주고있다. 30년전, 1992년만 해도 한인사회는 현재의 막강한 파워가 있는 그러한 상태가 아니었으며 당시에는 연방 하원의원도 한명도 없었고 미국 정치계에서 우리를 대표해줄 사람은 단 한명도 없었다. 이러니 정치에서 한인들의 진출이 얼마나 중요한지 새삼 깨닫게 한다.

당시 필자는 25세로 4월 29일 오후 늦게 대략 4시경 로드니 킹 구타 경찰들이 무죄 판결이 내려지고 사회 분위기가 이상하게 돌아가면서 해가 질 무렵, 그러니까 약 5시, 6시 경에 로스앤젤레스 쪽 하늘이 방화로 인해 검게 타오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전쟁에서나 볼 수 있는 그러한 온통 하늘이 검은 연기로 뒤덮이기 시작한 것이다. 필자가 살 던 곳은 오렌지 카운티 애나하임으로 안전한 지역에 속한 편이어서 여기까지는 방화나 약탈이 없었다. 그날 밤 내내 로스앤젤레스 쪽의 하늘은 검게 타올랐고, 텔레비전과 라디오 방송은 온통 폭동 소식뿐이었다. 이어 라디오 코리아에서 특별 방송으로 약탈 현장을 생중계하고 피해를 당하는 한인들이 라디오 코리아로 계속 전화를 하여 도움을 요청하였다. 이 전화를 받은 라디오 앵커들은 생방송으로 이 라디오를 듣는 한인들에게 도움울 요청한 한인 가게로 가 도와달라고 말하기 시작하였고 며칠 내내 이러한 생중계의 라디오 방송이 계속 나갔다. 그야말로 라디오 코리아가 전쟁통의 통신지휘센터로 변한 것이다.

당시 우리 한인들은 라디오 코리아에 24시간 귀기울이며 며칠동안을 그렇게 보냈다. 당시의 극박함, 폭도득이 몰려오고 있어요 라고 울부짓는 한인들의 소리가 지금도 귀에 쟁쟁하며 영원히 잊혀지지 않을 것이다. 마치 임진왜란때 권율장군의 행주산성 전투와도 같은 상황이었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겪은 사이구 폭동인 것이다.

4월 29일 다음 날 아침, 필자는 밤새도록 라디오 코리아에 귀기울이다가 엘에이 한인타운이 폭도로 완전히 점령되었다고 생각하고 친구하고 나의 트럭을 타고 엘에이 한인타운으로 갔다. 프리웨이에서 내려서 한인타운 진입로인 웨스턴 길로 가니까 이미 사방은 다 불타있었고, 어느 곳은 계속 타는 중이었고, 하지만 경찰이나 소방차, 주 방위군은 전혀 없었고, 사방에서 상점 약탈은 계속되었다. 완전히 경찰이 타운을 버리고 타운은 무법천지였다. 당시 2천 3백곳이 한인 소유 상점들이 불타고 약탈당하였으니 한인타운은 그야말로 전쟁으로 없어진 것이나 다름없었다. 우리 가족은 당시 오렌지 카운티 애나하임에서 살고 있었기 때문에 피해는 없었지만 한인들이 집중해 살고 있고 사업을 하고 있는 엘에이 한인타운은 단 하룻밤 사이에 잿더미가 된 것이다.

그동안 30년이 흐르면서 폭동 당시 피해를 입은 한인들의 이야기를 많이 들었고, 이들이 제대로 정부로부터 피해보상을 받았다는 것은 듣지 못했다. 당시 폭동이 끝난 후 폭동 피해자 협회를 상대로 엘에이 정부에서 관계자가 무슨 보상 설명을 해 가서 보니, 전혀 제대로 보상책을 확실히 해주는 것도 아니고 피해를 당한 한인들이 당신 정치인들이 정치를 이렇게 하니까 이렇게 폭동이 나는 것 아니냐라는 성토대회가 되고 있었다. 이번의 코로나 사태로 한인들을 비롯해 모든 미국민들이 정부로부터 어느 정도의 보상은 받았지만 당시로서는 폭동이니 어떠한 보상책이 있을래야 있을 수가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하룻밤 사이에 가게가 잿더미로 변한 한인들은 캘리포니아를 떠났고 많은 수가 워싱턴 주, 콜로라도, 오레곤, 조지아 주 등 타지로 새로운 삶을 찾으러 떠났다.

4.29 폭동 후 흑인 밀집 지역인 사우스 센트럴의 대부분의 한인 소유 상점들은 이 지역을 떠났고, 한인사회는 전체적으로 엄청난 변화를 겪었다. 폭동으로 인해 물리적, 정신적 피해를 입었으나 한인들은 다시 삶을 개척하였고, 지금에 와서는 한인계 은행 뱅크 오브 호프의 연구자료에 의하면 50배 가까이 한인 경제규모가 증가하였다. 또한 중요하게는 한인사회가 주류사회에 적극 참여하고 진출하게 되는 계기도 되었다.

정치적으로, 1992년 폭동 후 김창준 의원이 사상 처음으로 한인으로서 연방 하원의원에 당선되었다. 당시 폭동 때 텔레비전 방송국에 한인을 대표하여 출연하기도 한 김 전의원의 당선은 폭동을 딛고 일어 선 한인사회의 파워를 입증한 것으로 실로 중요한 한인사회의 역사적 이정표였다. 또한 한인들의 정계 진출은 계속 이어져 현재에는 미셸 박 스틸, 영김, 앤디김, 매레 스트릭랜드 등 4명이나 연방 하원에 진출해 있다.

다시 돌이켜보면 미국의 한인 역사에서 사이구 폭동은 그 중심에 있으며 미국내 한인이라는 아이덴티티는 사이구 폭동으로 시작된 것이다. 1960년 후반 본격적인 한인 이민이 시작되면서 이 폭동으로 인해 미국내 한인 사회가 정립되었고, 또 본격적인 주류사회 진출도 이 폭동에서 시작된 것이라 볼 수 있다. 당시 폭동때 상점 지붕에 올라 가 총을 들고 폭도들로부터 타운을 지킨 지붕위의 한인들, 루프탑 코리안, 이 모두 사회의 회오림속에서 우리 한인들은 우리의 정체성을 정립하였고 새로운 발전의 기회를 맞이하게 되었다. 우리는 당시이 피해자에서 이제 그 피해를 딛고 일어선 이 사회의 지도자가 되는 그러한 지난 30년간의 역사를 살아왔다.

김태수 국제부 부장

세션 내 연관 기사 보기

The following two tabs change content below.

편집국

시니어 타임즈 US는 미주 한인 최초 온라인 시니어 전문 매거진입니다.